[과학덕후클럽] 천문학도들이 알려주는 겨울밤 별자리 잘 찾는 비법 / YTN 사이언스
Page info
Writer YTN 사이언스 Date18-01-31 00:00 Hit32 Comment0Link
-
https://youtu.be/lhRA5MxW_9I 2- Connection
Body


[앵커]
젊은 과학도들의 넘치는 상상력과 기발한 아이디어를 들려드립니다. 세상 별난 '과학덕후'들을 만나보는 [과학덕후클럽] 시간입니다.
겨울은 1년 중 가장 별을 보기 좋은 계절인데요. 천문학도들이 겨울 밤하늘에서 별자리를 잘 찾는 비법을 알려준다고 합니다. 화면으로 함께 만나 보시죠!
[재필]
안녕하세요. 우주에 대한 모든 이야기 우주얼간이 박재필입니다,
[제이]
안녕하세요. 제이입니다,
[서영]
안녕하세요. 서영입니다,
[재필]
오늘 과학덕후클럽에서는 가장 화려하게 빛나는 겨울철 별자리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겨울철에 별을 보기가 유난히 좋은데요. 왜 그런 거죠?
[제이]
네 겨울철에 유독 1등성의 밝기를 지닌 별들이 많은데요.
또 겨울엔 습기가 없어 밤하늘의 시상이 좋기 때문에 관측하기도 다른 계절에 비해 상대적으로 좋습니다. 추운 것만 빼면요.
[서영]
이런 계절별 별자리의 변화는 지구가 태양을 공전하면서 밤하늘에 별이 매일 조금씩 바뀌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재필]
겨울철에 유독 잘 보이는 별자리, 근데 저는 바로는 찾기가 어렵거든요. 그래서 잘 찾는 방법이 있다고 하던데 혹시 소개해주실 수 있나요?
[제이]
네 아까 말씀드린 1등성 급의 별을 먼저 찾는 방법이 있습니다.
오리온자리의 리겔과 큰 개 자리 시리우스, 작은 개 자리 프로시온, 마차부자리 카펠라, 쌍둥이자리 카스토르, 황소자리 알데바란을 이은 것을 겨울철의 대육각형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별들을 먼저 찾고 각각의 별들을 찾는 방법이 있죠.
[서영]
또 겨울철 별자리 중에서 가장 눈에 띄는 오리온자리의 밸트 부분을 삼태성이라고 하는데요. 여기를 기준으로 주변의 별자리를 찾는 방법도 쉽게 별자리를 찾을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재필]
그렇다면 이러한 별자리는 왜 생겨난 걸까요?
[서영]
별자리는 옛날 사람들의 상상력의 산물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별의 모양들에 여러 가지 신화를 붙여 기억을 하였고요. 그리고 뱃사람들이 망망대해에서 지표로 삼아 항해를 할 때 가장 많이 또 중요하게 사용했다고 합니다.
[제이]
네 오늘날에는 인공위성에 탑재되는 스타 트래커라는 우주의 별을 기준으로 해 인공위성의 자세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중요한 도구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스타 트래커는 카메라를 이용해 별을 촬영해서 지금 ...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www.ytnscience.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0082\u0026s_hcd=0015\u0026key=201801311704344269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