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 인연 나의 짝이 될 수 있는 관상 - 경북 포항시 용한 무당 점집 추천 후기 천하장군 채은보살

본문 바로가기

관상

관상

평생 인연 나의 짝이 될 수 있는 관상 - 경북 포항시 용한 무당 점집 추천 후기 천하장군 채은보살

Page info

Writer 굿엔트 Date20-10-07 00:00 Hit21 Comment0

Body





#평생_인연 #나의_짝 #될_수_있는_관상 #점집추천 #점집후기 #점집사주 #근처점집 #점잘보는집 #2020년_신년운세 #경북점집 #포항점집 #천하장군 #채은보살 #채은당

천하장군 채은보살
상담문의:010-8970-7181
상담위치:경북 포항시 남구 중앙로 91번길(채은당)

[굿엔트]촬영문의 010.9768.1638
[굿엔트]유튜브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M6gid2jm7Pc7d_wOrDgQQg
[굿엔트]네이버 https://blog.naver.com/goodent1638
[굿엔트]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goodent1638
[굿엔트]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goodent1638/
[굿엔트]트위터 https://twitter.com/Goodent6
[굿엔트]카카오스토리 https://story.kakao.com/goodent1638
[굿엔트]스토리채널 https://ch.kakao.com/channels/@goodent1638

우리나라 전통의 민간신앙을 알리는 곳으로 무속인의 이야기와 무속 문화 세습에 대하여 바르게 소개합니다. 구독자 시청자 여러분 항상 좋은 날 되세요!

민속신앙 전문 유튜브채널 '굿엔트' - 여러분들의 구독과 좋아요는 영상 콘텐츠 제작에 큰 도움이 되고있습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재수굿(財數─):중부지역에서 집안의 안녕함과 재복 그리고 자손의 창성, 가족의 수복을 위해 행하는 무속의례.
주로 중부지역에서 행하여지는데, 서울과 경기 북부지역에서는 강신무가 하고 경기 남부와 부여지방에서는 세습무에 의해서 전승된다.
집안단위로 행하여지면서 산 사람의 길복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죽은 이의 영혼천도를 목적으로 하는 진오기굿과 대별되는데, 재수굿이라는 이름 외에 천신맞이·경사굿·안택굿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전라도 지역의 도신, 황해도지역의 철물이굿의 목적과 기능이 대동소이(大同小異)주 01)하다.
재수굿은 정초 또는 봄·가을에 하는데 굿 날짜는 가족의 생기복덕에 맞추어 결정한다. 정기적으로 해마다 또는 3년에 한번씩 하는 것이 상례이지만 집안에 우환이 생긴 경우에는 재수를 빌기 위하여 특별히 행하기도 한다. 서울 지역 재수굿을 중심으로 흔히 열두거리라고 부르는 제차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부정 : 굿하기에 앞서 부정을 가셔 제장을 정화함으로써 신을 청해들일 준비를 하는 의례이다.
② 가망 : 신격은 분명하지 않으나 제일 먼저 맞이하는 것으로 미루어볼 때 중요한 신격으로 여겨진다. ‘본주고 씨준 가망’이라는 무가내용으로 조상신이라고도 하고 신 자체를 의미한다고도 해석한다.
③ 말명 : 조상신을 모시는 의례이다.
④ 산마누라 : 산신을 의미하는데 주로 최영장군을 모신다.
⑤ 별상 : 손님이라고도 하며 천연두신을 모시는 거리이다. 그러나 서울에서는 억울하게 죽은 사도세자를 모시는 굿이라고도 한다.
⑥ 대감 : 재수와 집안에 이익을 주는 신으로 믿는다. 재수굿은 흔히 대감놀이라고도 하는데, 그 이유는 대감신의 구체적 직능이 재수굿의 목적과 일치하는 것과 대감굿의 성격이 매우 유흥적이어서 일반인들의 선호도가 높기 때문이다.
⑦ 제석 : 불교적인 색채가 짙어 무당이 승복을 입고서 중타령을 부르고 바라춤도 추지만 그 기능은 복을 주는 신이다.
⑧ 호구 : 처녀신으로 믿는다. 특히, 궁녀가 죽은 신이라고도 하는데, 무당이 붉은 치마를 쓰고 굿을 하다가 액을 걷어 가는 의미에서 치마를 벗는다. 서울에서는 천연두신이라고도 한다.
⑨ 군웅 : 장수신으로 화살을 쏘아 외부에서 들어오는 액을 막는다.
⑩ 성주 : 가신(家神)이다. 새로 집을 지으면 특별히 성주맞이를 하기도 한다.
⑪ 창부 : 광대신으로 열두 달의 액을 막는다.
⑫ 뒷전 : 굿에 청하였던 모든 신을 보내고 동시에 굿에 따라든 잡귀들을 풀어 먹이는 의례이다. 이와 같은 재수굿은 경제적 여유가 있는 집안에서 친족과 이웃을 모두 청하여 잔치처럼 치르는 경우가 많았다.
신과 인간을 고루 대접함으로써 집안의 안녕함과 길복을 계속 유지하려는 것이다.

조상축원(祖上祝願):무속의식 중 조상거리나 안택 때 부르는 축원무가.
조상신에 대하여 자손들의 수명·복록·재수 등을 기원하는 것이다. 조상에 대한 독립된 제차(祭次)가 확보되지 않았을 경우에도 축원 중에 「조상축원」은 삽입된다.
대체로 인생무상을 노래하면서 조상의 혼령을 위로하는 내용과 자손을 보호하여 달라는 기원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무녀의 굿보다도 독경자의 안택에서 구송되는 것이 내용이 풍부하다.
독경자의 「조상축원」은 ‘조상경’ 또는 ‘조상해원(祖上解寃)’이라고도 하는데, 한 많은 인생살이의 이모저모가 묘사되고 한 맺힌 마음을 달래는 내용이 중심이 된다.
“언제 죽어 영가되고 언제 죽어 넋이 됐나 살은 썩어 물이 되고 뼈는 썩어 돌이 되고 칠성판은 요를 삼고 떼로 이불덮고 송죽으로 울을 한데 십오야월 밝은 달빛 두견새는 슬피 울어 저 조상의 슬픈 사정 오곡간장 도려내니.”
이처럼 쓸쓸한 혼령을 위무하는 내용이 가사체로 전개되고 있다. 「조상축원」은 망자축원과도 내용의 일부가 공통되며, 「상엿소리」·「회다지소리」 등 민요와도 공통된 내용이 많다.

축원(祝願):무속의례에서 인간이 신에게 소원을 비는 말을 가리키는 무속용어.
굿거리나 신의 성격에 따라, 또는 제주(祭主)의 정황에 따라 축원의 내용은 달라진다. 그러나 대상신의 직능에 관계없이 축원에는 고정된 틀이 있다. 대표적 축원으로는 서두축원(序頭祝願)·고사축원(告祀祝願)·조상축원(祖上祝願)·망자축원(亡者祝願) 등이 있다.
서두축원은 무의(巫儀)를 시작할 때 주신(主神)에게 올리는 말로서, 제주도 무가에서는 ‘배포도업침’ 및 ‘집안연유닦음’이라고도 한다. 천지가 조판(肇判)주 01)된 이후 무의를 하는 현재까지 시간의 경과를 약술하고 명산·대천의 이름을 나열하여 공간적 분포를 약술한다. 다음으로 치성을 드리게 된 연유를 말하고 제물을 정성스럽게 준비하였다는 공치사를 한다. 또한 제주의 생년과 성씨를 대고 제일을 고르던 사연, 제물을 진설한 상태 등을 고한다.
고사축원은 성조축원이라고도 하는데, 가정을 지키는 신에 대한 축원을 말한다. 내당축원(內堂祝願)·대감축원(大監祝願)·지신축원(地神祝願)·터주축원·수문장축원(守門將祝願)·뒷간축원[厠間祝願]·걸립축원 등이 있다.
조상축원은 굿하는 무당의 축원보다 안택(安宅)주 02)을 할 때 좌경(坐經)하는 사람이 소리내어 읽는 축원의 내용이 다채롭다. 대체로 조상해원(祖上解寃)이라고도 불리는데, 조상에게 자손들의 수명과 복록·행운을 비는 내용과 조상들의 맺힌 한을 푸는 것으로 되어 있다.
망자축원은 죽은 사람의 혼령을 위무하는 내용이다. 헐벗고 굶주렸던 한 맺힌 삶과 저승사자에 의하여 저세상으로 인도되는 망령(亡靈)의 모습을 묘사한다. 이상의 축원은 무가로 전승되고 있으나 일반민중에게도 널리 퍼져서 민요나 가사문학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지신밟기노래」는 고사축원에서, 「상엿소리」는 망자축원에서, 「터다지기노래」는 성조축원에서 각각 영향을 받은 민요이다.

축원굿(祝願─):행운과 초복을 기원하는 재수굿 형태의 무속의례. 재수굿.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병자의 병을 낳게 하는 축원굿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또한 씻김굿 중에 망자(亡者)를 위한 축원거리로 나오기도 한다. 그러나 축원굿이라고 하면 재수 축원굿을 의미하게 되고, 병을 낫게 하기 위한 축원굿은 병축원굿이라 하여 ‘병’자를 앞에 붙이고 있다.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

Total 4,337건 97 페이지
게시물 검색
exr.kr
group_icon패밀리사이트 더보기
bkts.co.kr 부동산 다시보기
dcbooks.co.kr 오늘의운세 무료보기
ggemtv.com 겜TV
haevich.kr 자격증 다시보기
kpopwiz.com 케이팝 위즈
manoinfo.com 내가게 양도양수
misotv.co.kr 짤방로그
parrot.or.kr 앵무새 분양센터
mail_icon문의/제안 :
cs@epr.kr

SITEINFO

dcbooks.co.kr
My own VLOG Diary that only scraps Youtube videos that I am interested in.

Mail :
cs@epr.kr

NEWS

  • 게시물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679
어제
921
최대
7,665
전체
2,504,509
Copyright © dcbooks.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