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 양력 음력 24절기 태음태양력 윤달 초복 중복 말복
Page info
Writer 역리학당 오원재 Date20-07-01 00:00 Hit19 Comment0Link
-
https://youtu.be/2RzF-qAi2yU 1- Connection
Body


합삭(合朔)으로 매월 정하고 길일 흉일 점친 일관(日官)은 없었다!!
조선 관상감 일관들은 모두 절기(節氣)로 년(年)과 월(月)을 정하고 결혼식, 장례식, 이사 등의 좋고 나쁜 날을 점쳤고, 명과학자들 역시 절기(節氣)로 년(年)과 월(月)을 정하고 하늘이 부여해준 천명을 점쳤습니다.
달의 합삭에 의해 매월이 결정되는 음력으로 매월을 정하고 길일과 흉일을 점친 일관들도 없었고, 음력으로 연월일시인 사주팔자를 정한 명과학자들도 없었습니다.
일관들과 명과학자들 모두 입춘부터 경칩사이는 인월(寅月) 즉 1월, 경칩부터 청명사이는 묘월(卯月) 즉 2월, 청명부터 입하사이는 진월(辰月) 즉 3월 등으로 매월을 정하고 길일과 흉일을 점치고, 또 사주팔자를 정했습니다. 음력 1년 12달과는 관계없이 24절기로 매월과 사주팔자를 정하고 길일과 흉일, 그리고 길흉화복을 점쳤다는 얘기입니다.
그러니까 입춘이 음력 12월에 들든 음력 1월에 들든 음력과는 관계없이 입춘이 드는 시간부터 경칩 사이를 인월 즉 1월로 정하고, 경칩이 음력 1월에 들든 음력 2월에 들든 음력과는 관계없이 경칩이 드는 시간부터 청명 사이를 묘월(卯月) 즉 2월로 정했다는 뜻입니다.
조선 관상감에서 일관들이 길일과 흉일을 점치던 비법은, 현재 우리가 쓰는 달력을 만드는 천문학자들에게는 전수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지만, 조선 관상감에서 길흉화복을 점치던 명과학자들의 비법은 사주 명리학자들에게는 일부 전수되어 요즘도 폭넓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음력 연월일시로 사주팔자를 정하지 않고, 24절기로 사주팔자를 정한다는 사실은 왕초보 사주 명리학자들도 다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24절기로 연월일시인 사주팔자를 정한다는 것은, 24절기는 음력과 관련이 없는 독립된 달력이라는 사실을 입증하는 증거가 되는 것입니다.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