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의 길 3강(2) : 영미철학
Page info
Writer Date23-09-08 00:00 Hit55 Comment0Link
-
https://youtu.be/xLgM9G8gG0Y 8- Connection
Body


* 성천문화재단 : www.sungchun.or.kr
[서양철학] 철학의 길
* 강좌 소개 : 이 강좌는 시중에 차고 넘치는 일방적 해설 강좌를 지양하고, 한 철학자가 어떻게 철학과 만났으며 거기서 무엇을 배우고 그것에 어떻게 응답했는지를 젊은 후학에게 생생히 들려주는 대화의 형태로 진행된다. "철학은 가르칠 수 없고 철학함은 가르칠 수 있다"는 칸트의 말처럼, 수강생들은 이 강좌에서 철학함의 실제를 목격하고 그 과정에 동참할 수 있기를 바란다.
* 강사 : 이승종(뉴욕주립대 철학박사, 연세대 교수), 윤유석(연세대 박사과정)
* 주교재 및 참고도서 :
『데리다와 비트겐슈타인』, 뉴턴 가버 ‧ 이승종 지음, 동연(2010)
『비트겐슈타인이 살아있다면』, 이승종 지음, 문학과지성사(2002)
『크로스오버 하이데거』, 이승종 지음, 동연(2021)
『동아시아 사유로부터』, 이승종 지음, 동녘(2018)
『우리와의 철학적 대화』, 이승종 지음, 김영사(2020)
『우리 역사의 철학적 쟁점』, 이승종 지음, 소명출판(2021)
『비트겐슈타인 새로 읽기』, 이승종 지음, 아카넷(2022)
*본 강좌에 대한 더 많은 정보:
https://www.sungchun.or.kr/class/%EA%B0%95%EC%82%AC-%EC%9D%B4%EC%8A%B9%EC%A2%85/
--------------------------
* 3강(1) : 분석철학 1
* 핵심어 : 비트겐슈타인, 논리철학논고, 명제론, 모순론, 튜링의 다리, 폭발 원리
----------------------------
챕터 구분
00:00 들어가는 말: 화이트헤드의 강연 이야기
01:30 들어가는 말: 브루크너의 공연 이야기
04:11 괴델/비트겐슈타인 논쟁에 대해 설명해 주실 수 있으신가요?
13:02 수학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문법적 접근과 괴델의 메타 수학적 접근 사이의 차이는 무엇입니까?
16:26 비트겐슈타인은 왜 괴델의 증명에 별다른 의의를 부여하지 않았습니까?
19:49 괴델의 증명에 대한 해석의 권한은 비트겐슈타인보다는 괴델 자신에게 있는 것 아닐까요?
24:04 비트겐슈타인의 모순론은 규약주의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나요?
32:15 비트겐슈타인이 일종의 규약주의자라는 해석은 정당한가요?
35:18 우리가 실재에 부딪혀 특정한 선택을 강요받게 된다는 (하버마스 등의) 주장을 어떻게 보시나요?
40:08 (부정적 의미의) 규약주의를 피하면서도, (형이상학적 의미의) 실재를 받아들이지 않을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할까요?
41:23 모순은 철학에서 어떠한 의의를 지닐 수 있을까요?
50:05 수강생과의 질문과 대답: 비트겐슈타인의 모순론에 대한 감상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